건강

뇌 기능의 변화, 알츠하이머

Min2_ 2025. 6. 25. 13:30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서서히 나타나다

알츠하이머는 고령 인구에서 흔히 나타나는 퇴행성 뇌 기능 저하 상태로 기억력 및 인지 기능의 점진적인 변화가 특징입니다. 이 상태는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박사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증상이 나타나며 초기에는 주로 단기 기억력에 문제가 생기고 점차 언어 사용, 판단력, 집중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결국에는 일상생활을 스스로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런 변화는 대개 65세 이후에 주로 관찰되지만 드물게는 40~50대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65세 이전에 발병한 경우는 조발성 알츠하이머, 이후에 발병한 경우는 만발성 알츠하이머로 구분되고 조발성은 비교적 빠른 경과와 언어 관련 기능 저하가 빨리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만발성은 상대적으로 진행속도가 느리고 기억력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발병 시기에 따른 차이는 일부 양상에서만 구분되며 근본적인 병리 기전은 동일하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뇌의 변화와 그 배경

알츠하이머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 결과에 따라 특정 생화학적 변화들이 관련된 것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 조각이 뇌에 비정상적으로 쌓이며 신경 세포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타우 단백질의 구조 변화, 산화적 스트레스, 염증 반응 등도 뇌세포의 기능 저하에 관여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뇌 속에 특정 구조적 소견(신경반, 신경섬유다발)을 형성하며 인지 기능 저하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또한 가족력이나 일부 유전적 소인이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특정 유전자 변이가 조기에 발병하는 유형과 관련된 사례가 있으며 특히 가족력 기반의 경우 발병 시기가 이른 경향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인 고령 인구에서는 유전 요인 외에도 연령 자체가 중요한 영향 인자로 작용합니다. 실제로 65세 이후에는 5세 단위로 발병 가능성이 배가되는 경향이 관찰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여성 성별, 낮은 교육 수준, 우울감 경험, 외상 이력 등이 관련 요인으로 제시되기도 합니다.

증상으로 알아보는 변화

알츠하이머는 다양한 인지 및 행동 변화로 나타나며 가장 특이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기억력 저하입니다. 초기에는 최근 대화나 약속 등을 자주 잊고 같은 질문을 반복하는 등 단기 기억력 저하가 두드러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전에 경험한 일이나 사람과의 만남 자체도 기억하지 못하는 일이 생기며 병이 진행되면 본인의 이름, 가족 구성원, 과거 정보 등도 서서히 잊게 됩니다. 두 번째로는 언어 사용의 어려움입니다. 초기엔 말을 하려 할 때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이것, 저것 등으로 대신하거나 말문이 막히는 일이 잦아집니다. 말은 이어지지만 단어 선택이 어렵고 점차 표현력이 떨어지며 상대방의 말도 이해하기 어려워지는 변화를 보입니다. 세 번째로는 시간. 공간 인식 능력의 저하입니다. 처음에는 날짜나 요일 혼동이 나타나고 점차 중요한 일정이나 기념일을 놓치게 됩니다. 더 진행되면 연도, 계절, 낮과 밤의 구분이 흐려지고 새벽에 일어나 활동을 시작하는 등 혼란스러운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나중에는 자주 다니던 장소에서 길을 잃는 등 방향 감각에도 변화가 옵니다. 네 번째로 성격 및 정서 변화입니다. 기존 성격과 달리 무기력하거나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피하고, 반대로 쉽게 예민해지고 짜증을 내는 등의 정서 변화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수면 주기에도 영향을 주며 특히 저녁 시간대 혼동이 심해지는 일몰 증후군 양상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로 판단력 저하 및 일상 기능의 변화입니다. 병이 진행될수록 계획을 세우거나 결정을 내리는 것이 어려워지고 사소한 일상의 업무 수행도 점점 힘들어집니다. 금전 관리, 물건 정리, 가전제품 사용, 요리, 위생 관리 등의 활동을 제대로 이어가기 어렵게 되며 결국 기본적인 자기 관리에도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출처]

대한치매학회, 중앙치매센터,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이 글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개인의 상태에 따라 반응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상이 있을 시 전문가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 이상의 반응 임파선염  (0) 2025.07.01
혼탁한 시야, 백내장  (0) 2025.06.29
초기관리가 중요한 부비동염  (1) 2025.06.24
무더위가 불러오는 온열질환  (1) 2025.06.23
고혈압, 몸이 보내는 신호  (1) 2025.06.22